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란?
정부에서 청년들의 건전한 자산 형성과 목돈마련을 통해 자립의지를 키워주기 위한 제도로 연소득 5천만원 이하의 청년이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 펀드에 가입시 납입한도 년 600만원에 대해 펀드 납입금액의 40%에 대해 소득공제 혜택을 주는 제도입니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 |
가입대상 | 연간 총 급여액 5,000만원 이하 |
가입기간 | 3년이상 ~ 5년 이하 |
가입나이 | 만 19세~만 34세 이하 청년 |
소득공제 | 납입금액(연 600만원 한도)의 40%를 종합소득금액에서 소득공제 |
만기수령금(3년 기준) | 3년간 월 50만원씩 납입 시, 1800만 원 + 펀드 수익 + 소득공제 최대 720만원 |
원금보장 | X (펀드수익에 따름) |
중도해지 시 | 감면세액 추징(납입금액의 6%) |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대상
만 19세~만 34세 이하 청년 (군 복무를 한 사람이라면 최대 6년 연장 인정)
- 연간 총 급여액 5,000만원 이하
- 종합소득금액 3,800만원 이하
- 직전 3개 연도 동안 한 번이라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였다면 신청 불가
- 현재 근로 및 사업소득이 있어야 함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혜택
납입액의 40% 소득공제 혜택
가입기간은 3년 ~ 5년 이며 연 600만원 까지 납입가능(월 50만원)
3년간 월 50만원씩 납입 시 3년후 1800만 원 + 펀드 수익 + 소득공제 최대 720만원
- 연 600만원 X 3년 = 1,800 만원 (납입원금)
- 펀드 운용 수익금
- 펀드 납입액 기준의 40% 소득공제
총 급여액이 8000만원 초과되거나 종합소득금액이 6700만원 초과될 경우
해당 과세구간에는 소득공제에서 제외됨
신청기한
2022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장기펀드에 가입하는 경우에 적용됩니다.
가입방법
가입 조건에 부합할 경우 해당상품을 취급하는 증권사에서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 필요서류 신분증, 소득금액 증명서, 병적증명서 등을 지참해서 방문신청하거나 온라인 홈페이지 또는 어플을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삼성증권, 한국투자증권, KB증권, 신한금융투자 등
홈택스 소득금액증명서 출력 바로가기
https://www.gov.kr/mw/AA020InfoCappView.do?HighCtgCD=&CappBizCD=12100000021
소득금액증명 | 민원안내 및 신청 | 민원24 | 정부24
접속량이 많아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잠시 후 다시 접속해주세요
www.gov.kr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장단점
증권사에서 직접 운용하는 펀드로 고수익 보장이 어렵고, 원금 보장도 되지 않는 상품으로 연말정산을 위해 가입하는 소득공제 혜택은 큰 장점이나, 연 5000만원 이하 소득자가 대상이고 해당 구간은 결정세액과 소득세가 낮기때문에 소득세 부담이 낮은 청년들에게는 큰 혜택이 아닐 수 있습니다.
리스크가 있는 투자상품인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소득공제만 보고 가입하면 펀드수익금으로 원금보장이 안될 수 있어
해당 부분 인지하시고 가입하셔야 합니다.

다음번엔 청년도약계좌 혜택 정리로
돌아오겠습니다~!